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마르크스의 자본론, 5분만에 리뷰해보자! [맹군의 자본론 읽기 #1] 우리말 번역본으로 약 3,200쪽의 압도적인 분량을 자랑하는 경제학의 고전!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에 도전합니다. 맹군의 자본론 읽기, 본격 오픈! [자본론]의 연구대상과 주요 결론들을 5분만에 뚝딱 정리해드립니다. 아낌없는 구독! 좋아요! 부탁드려요~ 더보기
노동-가치-생산가격-시장가격에 대한 도식화 ​ 아이패드와 애플펜슬로 뚝딱 만든 노동가치론 도식. 헷갈리는 개념들을 한데 모아봤다. (1) 상품의 이중성 : 사용가치와 가치 - 사용가치는 상품을 소재적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유용성을 의미. - 가치는 상품을 사회적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한 상품을 다른 상품/화폐와 교환 가능하게 하는 성질을 의미. (2) 노동의 이중성 : 구체노동과 추상노동 - 구체노동은 사용가치를 생산하는 노동. 소재적으로 다른 사용가치를 창출하는 노동들, 혹은 같은 사용가치를 생산하더라도 숙련도나 강도에서 차이가 나는 노동들은 서로 이질적인 구체성을 가짐. - 추상노동은 가치를 생산하는 노동. 추상노동은 인간노동력의 지출이라는 물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하며, 동시에, 판매를 위한 생산(상품생산)이라는 .. 더보기
'임금노동과 자본'을 '가계와 기업'으로 대체한 현대 경제학의 비밀 굳이 맑스의 논의를 따르지 않더라도, '노동자와 자본가' 라는 구분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법이다. 그런데 현대 (주류) 경제학 텍스트나 경제기관 보고서들에서 이런 개념을 찾기는 쉽지 않다. '자본'과 '노동'이라는 용어는 현대 경제학에서도 핵심요소를 이루고 있지만, 이는 대표적인 생산요소를 지칭하는 물적 개념일 뿐 '~者'나 '~家'를 붙일 수 있는 주체적 개념이 아니다. 노동시장을 분석할 때 '노동인구'라는 개념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경제활동의 한 주체나 집단으로서 '노동자'라는 이론적 개념은 없다고 봐야한다. '자본가'는 더더욱 그렇다. 경제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시장경제의 3주체'는 가계, 기업, 정부로 이뤄져 있다. 여기서 '정부'는 가계나 기업으로부터 거둔 세금을 기초로 이를 보조하는 제 3자로.. 더보기
20140623 자본주의의 '모순' - 생산력의 발전이 가져오는 역설 맑스 경제학을 공부할 때 느끼는 '꿀잼'은 이런 역설이다. 인간의 노동을 편하게 만들고 노동에 들이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만든 기계가, 거꾸로 노동시간을 늘이거나 심지어 노동하지 못하고 굶어죽게 만드는(실업) 수단이 된다는 역설. 너무 많이 만들어서 물건은 남아도는데, 사람들은 물건을 살 돈이 없어서 배고픈 역설. 부동산 시장엔 빈 집이 남아도는데 집이 없어서 전세방 월세방을 전전하는 이들이 넘쳐나는 역설. 풍년이 왔는데 좋아하기는 커녕 곡식을 불태우며 울고있는 역설. 이러한 역설의 원인을 '인간의 탐욕' 이라던가 '근대적 성장주의의 폐해' 라던가 하는 모호한 개념들로 돌려서는 안된다. 자본주의 초기 노동자들이 고된 노동과 실업의 원인을 애먼 기계에게 돌리고 러다이트 운동을 벌였던 오류처럼 말이다. 기.. 더보기
20140424 사회적 분업, 시장경제, 자본주의 (1)경제학은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한 학문입니다. 물론 먹는 것 말고도 입고, 자고, 보고, 즐기는 것들도 하고 살아야겠죠. 인간의 이런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뭔가를 자꾸 써야합니다. 먹으려면 음식이 있어야 하고, 자려면 집이, 입으려면 옷이, 즐기려면 놀잇감(?)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게 하늘에서 뚝 떨어지진 않으니, 만들어내야 합니다. 경제학에서는 쓰는걸 '소비' 만드는걸 '생산'이라고 합니다. 어떤 형태가 됐든 경제활동이란 결국 생산에서 시작해 소비에 이르는 과정, 그것이 반복되고 재생산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졌을 뿐이죠. 자신이 만든걸 자기가 쓴다면 생산과 소비는 직접적으로 이어집니다. 자급자족이라고 하죠? 하지만 분업이 발달하면 만드는 사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