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근, 혹은 노동일(working-day) 연장의 정치경제학적 의미 자본론에서 왜 ‘하루’의 노동시간(노동일, working-day)을 계산단위로 사용하는지 잘 이해를 못했었다. 회계기간이 1년이니 연간 총노동시간과 그것의 필요노동-잉여노동으로의 분할을 논하면 될 일이 아닌가? 한동안 잊고 있던 질문의 답을 ‘불변자본의 절약’과 관련한 장의 한 문장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얻게 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시간과 날짜는 다르다’는 것. 하루 단위의 노동시간을 늘려 생산기간의 단위(일수)를 줄이는 것이 노동일 연장의 또 다른 목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답을 얻은 문장은 아래와 같다. (3권 5장 첫문단 중) “가변자본의 규모가 변하지 않는 경우(..) 절대적 잉여가치의 증가 또는 잉여노동과 노동일의 연장은 [일정한 상품량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불변자본의 가치를 총자본과 가변자.. 더보기
신용 : 생산의 한계를 넘는 수요창출의 매개 자본론 2권의 재생산표식과 3권 이윤율균등화를 논하는 단계에서는 신용 창출과 그에 따른 가공자본 형성이 고려되지 않는다. 신용의 확대가 고려되지 않는다면 모든 상품의 시장가격의 총계는 생산에서 창출된 가치(혹은 그것이 개별산업에 재배분된 생산가격)의 총계를 넘을 수 없다. 생산된 상품에 대한 수요는 ‘일차적으로’ 사회적으로 생산된 총가치량의 크기에 제한된다. 재생산표식의 균형조건은 이를 의미한다. 생산된 잉여가치를 전부 소비하지않고 축적함에 따라 확대재생산이 진행되는 것이지, 잉여가치의 수준을 넘어선 재생산은 2권의 표식 내에선 논의될 수 없다. 이윤율 균등화도 마찬가지다. 개별 자본이 나눠 갖는 평균이윤의 총량은 생산된 총잉여가치의 크기로 제한된다. 그러나 신용이 개입되면 총수요액은 생산된 총가치량을 .. 더보기
측정가능한 것으로 측정불가능한 것을 설명하라 자본론에서 가치와 생산가격을 설명하지만, 사실 현실의 경제주체들이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시장가격이다. 모든 정보는 시장가격으로 제시되고 누구도 가치, 심지어 생산가격조차도 정확히 얼마인지 알 수 없다. 개별기업의 이윤율도 잉여가치나 평균이윤이 아닌 시장이윤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자본가들은 자신이 착취한 잉여가치량이 얼마인지 알 수 없고, 따라서 그것을 자본에 비례해 균등하게 재배분한 평균이윤도 알 수 없다. 시장가격과 시장이윤율을 기준으로 기술혁신과 원가절감을 통해 경쟁을 벌일 뿐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러한 의사결정을 통해 자본가들이 고용한 노동력이 생산과정에서 지출되고, 생산물이 생산된다는 것이다. 그 사실이 가치와 생산가격의 존재근거다. 비록 현실에서 있는 그대로의 양으로 실현되지 않지.. 더보기
금융자산은 사회적 총자본을 구성하는가? 개별기업의 대차대조표와 달리 거시경제의 대차대조표는 (해외부문을 무시할 경우) 금융자산과 금융부채가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비금융자산은 그 자체로 한 경제의 부(富)를 구성하는 반면, 한 경제주체가 지닌 금융자산은 반드시 다른 경제주체가 가진 같은 크기의 금융부채와 대응하게 된다. 개별기업의 수준에서는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이 해당 기업의 부, 즉 자기자본의 구성부분이 된다. 그런데 이를 거시경제 차원에서 집계하면 모든 채권-채무관계가 차변과 대변에 나란히 위치하면서 순금융자산은 0이 된다. 다시말해 거시적 차원에서 금융은 순자산(부)을 이루지 않는다. 마르크스적 일반 이윤율은 다수의 개별자본간의 경쟁에서 도출되는 개념이다. 개별자본의 입장에서 볼때 (순)금융자산, 혹은 그의 용어로 ‘화폐자본’은.. 더보기
‘단순한 상품’과 ‘자본으로서의 상품’ 자본가A가 밀을 생산하고, 자본가B가 빵을 생산한다고 하자. (1) A는 밀을 100원의 가치로 생산해 150원의 가격으로 B에게 판매했다. (가치-가격 괴리) (2) B는 자신이 가진 150원의 화폐자본으로 A에게서 밀을 구입해 생산과정에서 200원의 부가가치를 더해 빵을 만들어냈다. (가치의 생산) 빵의 ‘가치’는 얼마인가? 가치론 논쟁에서 300원이라는 입장과 350원이라는 입장이 대립해왔다. 부가가치 200원은 노동에 의해 창조된 것이므로 명백하다. 문제는 빵에 이전되는 밀의 가치가 100원인지, 150원인지 헷갈린다는 것이다. 밀이란 무엇인가?(...-_-;;) 첫번째 입장. 밀은 상품이다. 노동가치론은 상품의 가치가 상품의 생산에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시간에 의해 결정된다고 봤다. 따라서 밀의.. 더보기